홍콩 (2013년 여름까지)과 보스턴에서 대학 강의를 하면서 느끼는 이런저런 얘기를 담고 있습니다. 모든 글은 제 개인적인 생각을 담고 있으며 제가 소속된 대학의 의견과는 무관합니다. 아울러 소모적인 논쟁이나 비속어가 담긴 댓글은 바로 삭제합니다.
2011년 10월 7일 금요일
영국 타임지의 세계 대학 순위를 보고
영국 타임지의 세계 대학 순위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런 류의 대학랭킹은 각 기관마다 산정방식이 다르고 매년 랭킹의 일관성도 떨어져서 개인적으로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 편입니다. 특히 조사기관이 자국 또는 자기 대륙의 대학에 비교적 호의적인 편입니다. 평판과 같은 비계량적 지표들에서 이런 성향이 심합니다. 영국 타임지에서 발표한 순위 답게 유럽권 대학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 문제점을 감안해도 우리나라 대학들 특히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는 아시아의 다른 대학에서 비해 많이 실망스러운 순위입니다. 이 랭킹이 연구 관련 가중치가 60% (연구의 양과 평판 30%, 논문 인용 실적 30%)나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학의 연구 환경을 반영하는 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아시아권 대학 순위에서 홍콩, 싱가포르, 우리나라 대학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University of Hong Kong: 34위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40위
포스텍(포항공대): 53위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62위
카이스트: 94위
서울대: 124위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151위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169위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193위
고려대: 226-250위
연세대: 226-250위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251-275위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276-300위
성균관대: 301-350위
경희대: 351-400위
200위 이하의 대학은 정확한 순위가 안 나오네요. 제가 근무중인 Hong Kong Baptist University가 전공마다 다르지만 홍콩의 7개 종합대학중에 5-6위권인데 성균관대보다도 순위가 높다는 건 의외입니다. 성균관대나 여타의 국내대학들이 저평가를 받는 건지 아니면 실제로 우리나라 대학들의 연구환경이 안좋은 건지 모르겠습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나라 대학에서 교수들에게 연구에 대한 동기부여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겁니다. 국내 유수의 대학들이 외국의 명문대학에서 학위를 받고 강의까지 하던 교수들을 적지 않게 보유하고 있지만, 막상 그 분들이 한국에 들어가면 연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공에 따라 다르겠지만, 연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논문실적에 따라 평가를 해서 승진과 연봉에 반영하려는 노력은 다른 아시아권 대학에 비해서도 부족한 것 같습니다. 연구를 할 시간이나 환경도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에 비해 이곳 홍콩의 대학들은 연구에 거의 목을 매고 있습니다. 홍콩의 7개 종합대학들이 모두 정부의 지원을 받는 공립대학인데 정부 지원 예산의 70%가 학생수, 27%가 연구실적, 3%가 기타 항목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연구실적이 높은 대학이 그만큼 더 많은 정부 지원을 받는 거지요. 이를 위해 각 전공별로 학술지 등급을 매겨두고 매년 학교별 연구실적을 평가합니다. 그 결과 대학내에서도 매년 있는 교수성과평가에 논문 실적이 제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승진이나 연봉 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논문이 안나오면 나이가 많이 들어도 조교수에 머무르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른 학교로 떠나거나 강의전담교수로 전환해서 2배 이상의 강의시간과 행정일을 담당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대학의 교수진이나 학생 수준은 결코 다른 아시아권 학교에 뒤지지 않습니다. 문제는 어떻게 그들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성과에 대한 보상을 하느냐일 것입니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