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월 13일 월요일

한국 경제에 대한 재벌의 영향력에 관한 통계의 오류

어제 임정욱님(@estima7)이 쓴 트위터 글을 보고 멘션로 글을 남겼는데 내가 쓴 트위터 글 중에서 가장 많은 리트윗 및 관심글로 표시된 것 같다. 그런데 멘션으로 반론에 가까운 질문을 받아서 답을 하려고 보니 트위터의 글자수에 맞출 방법이 없어서 이렇게 블로그에 답을 쓰고 링크를 트위터에 올린다. 아래의 트위터 글은 실제로 올라온 순서대로이다.

우선 임정욱님이 올린 트위터 글이다.
"장관이 총수 만나자고 하면 “급이 안맞아서…”(한겨레) 5대재벌의 GDP대비 매출액비중이 50%가 넘는다니... 너무 집중도가 심하다."

한겨레 신문의 기사에 나온 자료를 보면 재벌의 경제적 영향력을 보여 주기 위해서 GDP대비 매출액을 사용하고 있다. 사실 한겨레 뿐만 아니라 언론에서 재벌의 영향력 지표로 GDP대비 매출액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지표는 근본적으로 부적절하다. 그 이유는 내가 올린 아래의 멘션에 나와 있다.
" 우리 경제에서 재벌의 영향력을 보여주기 위해 GDP 대비 매출액을 자주 쓰는데 이는 부적절합니다. GDP는 부가가치 개념이고 매출액은 총판매액 개념이므로 단순 비교가 안됩니다. 올바른 자료를 바탕으로한 제대로된 비판이 아쉽습니다."

즉 GDP와 매출액은 단순 비교가 불가능한 수치이다. 전혀 다른 두 가지 측정치를 이용하여 비율을 만들어 봐야 아무런 의미를 찾을 수 없다.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신 @eracian 님이 올린 트위트 글을 얼마후 임정욱님이 리트윗하신다.
"잘못된 비교. RT : 한겨레의 정보왜곡기사. 아무리 주장이 옳다고 해도, 비교 불가능한 통계(GDP vs Sales)를 억지로 비교하여 사람의 심리를 왜곡하는 건 언론이 해서는 안되는 일"

그런데 얼마후 멘션으로 두 개의 질문을 받았다.

질문1
"@jlee61 @estima7 Gdp는최종 생산물의 가치의 합 or 부가가치의 총액의 합으로 구해지는데 왜 오류인지? 대기업의 매출도 최종생산물의 가치로 표현되어있는 것이고 또한 전단계 생산자들의 부가가치가 모두 합산된 개념 인데 동일한것 아닌가요?"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GDP는 최종 생산물의 가치의 합 또는 부가가치의 총액의 합과 같다는 것을 어렴풋이 기억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할 수 있는 질문이다. 이 질문을 보니 한겨레 기자 분도 마찬가지 생각으로 기사를 쓴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GDP는 최종 생산물의 가치의 합 또는 부가가치의 총액의 합과 같다는 것은 우리 경제 전체의 측면이고, 특정 기업의 매출액과는 비교 불가능하다. 다음의 예를 보자. 한 나라에 A, B, C의 세 개의 회사만 존재하고 아래의 순서대로 B는 A의 제품을 부품으로 이용하고, C는 B의 제품을 부품으로 이용한다고 보자. A, B, C가 각각 20, 30, 50의 부가가치를 창출했다면, A, B, C의 매출액은 20, 50, 100이 된다.

부가가치: A (20) => B (30) => C (50)
매출액: A (20) => B (50) => C (100)

GDP는 최종 생산물의 가치의 합 또는 부가가치의 총액의 합과 같다는 것은 위의 국가의 GDP 100과 C의 매출액 100이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 사실로 GDP와 매출액을 비교할 수는 없다. A의 매출액이 20, B의 매출액이 50이라는 것을 보면 GDP와 매출액은 단순 비교가 안된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만약 매출액과 GDP의 비율을 구한다면 A는 20/100, B는 50/100, C는 100/100이 되어서 아무런 의미가 없는 비율이 된다.

따라서, 특정 기업이 국가 경제에 영향력을 GDP로 비교하려면 해당 기업의 부가가치와 GDP를 비교해야 한다. 위의 예에서 A는 20%, B는 30%, C는 50%가 맞다.

질문 2
"글쎄? 추세설명을 위한 비교로는 충분히 적절함. 국가gdp도 결국 매출액 개념임. RT  재벌의 영향력을 보여주기 위해 GDP 대비 매출액을 자주 쓰는데 이는 부적절합니다. GDP는 부가가치 개념, 매출액은 총판매액 개념"


우선 한겨레 신문 기사를 보면 추세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마치 5대 재벌이 우리나라 GDP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처럼 보여주고 있다. 의도적이든 아니든 잘못된 기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추세를 설명하는 목적으로 GDP대비 매출액을 사용하면 어떨까? 예를 들어 전년도의 GDP대비 매출액이 45%였는데 올해는 50%로 늘어 났다고 할 수 있지 않는가? 이것이 질문하신 분의 의도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질문1의 답변에서 보듯 잘못된 비율을 이용해서 추세를 분석하는 자체가 넌센스다. 예를 들어 위의 세 회사의 부가가치 비율이 그 다음 해에 아래과 같이 변화했다고 보자.

부가가치: A (30) => B (50) => C (20)
매출액: A (30) => B (80) => C (100)

만약 GDP대비 C회사의 매출액을 비교하면 두 연도의 비율은 100%로 동일하다. 하지만 부가가치 비율로 보면 50%에서 20%로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 많은 기업들이 아웃소싱과 같이 생산 체계 자체를 바꾸고 있기 때문에 같은 제품이라도 실제 생산단계별 기업들의 부가가치 비율이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추세 비교도 역시 GDP대비 해당 기업의 부가가치 비율로 해야 맞다.

앞선 트위터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올바른 자료를 바탕으로한 제대로된 비판이 아쉽습니다.

2012년 2월 8일 수요일

CEO Compensation and Board Structure Revisited

오늘 Finance 세미나에서 발표된 논문인데 과정과 결과가 모두 재미있다.

Chhaochharia and Grinstein (JF, 2009) 에 따르면 미국에서 Independent Director비율에 대한 규정이 강화된 2003년부터 CEO의 보수가 평균적으로 17% 감소했다고 한다. 이 논문은 당시 강화된 규제의 정책적 효과를 지지하는 증거로 많이 인용되었다고 한다.

오늘 발표된 논문은 위의 논문의 결과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논문이다. 865개 표본회사 중에서 2개 (Fossil과 Apple) 회사를 제외하면 통계적 결과가 더이상 유의하지 않다는 것이다. 두 개의 outliers 경우 CEO가 최대주주 (Fossil)이거나 절대적인 파워(Apple)를 가지고 있어서 규제강화 이후 연봉이 감소했지만 이사회가 감시를 잘해서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Fossil의 경우 CEO가 5% 정도의 주가 하락 때문에 이사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원래부터 비교적 낮던 연봉을 자발적으로 줄였고, Apple의 Steve Jobs 경우에는 원래 연봉은 $1였고 규제 강화 이전에 일시적으로 받았던 거액의 스톡옵션, Restricted Stock, 보너스 (소형 항공기!)의 효과 때문에 총보수가 줄어든 것 처럼 보였다는 것이다.

워낙 유명한 논문을 반박하는 논문이라서 고생을 많이 했다는데 Chhaochharia and Grinstein (2009)와 마찬가지로 Journal of Finance에 나올 예정이라고 한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같은 주제로 독자적으로 시작된 두 개의 논문이 Journal of Finance 에디터의 권유로 하나로 합쳐졌다는 점이다. 회계나 재무쪽에서는 replication을 통해 기존 연구를 반박하는 논문이 톱저널에 실리는 경우가 드문데 하나의 좋은 사례가 될 것 같다.

세미나 논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1680476

추가: 퇴근 길에 만난 finance department 교수에 의하면 Journal 에디터의 권유로 두 논문을 합친게 아니라 두 논문의 저자가 자발적으로 합쳤다고 합니다. 세미나 발표자가 직접 한 얘기가 아니라서 확인은 어렵지만, 어쨌든 양 측의 공저자가 모두 윈윈한 경우입니다.

2012년 2월 4일 토요일

교수들만큼 이력서가 인터넷에 많이 공개된 직업이 있을까?

교수들은 이력서가 인터넷에 공개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선 각 대학의 학과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면 소속 교수들의 대략적인 프로필이 나온다. 출신 대학, 연구 분야, 중요 논문 등은 거의 반드시 공개되어 있다. 거기에 추가해서 장문의 이력서를 별도로 올려 놓은 교수들이 많다. 학교 차원에서 내부성과평가와 대외적 홍보를 위해 교수들에게 논문 실적이나 각종 활동을 공개하도록 온라인 시스템까지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다른 분야에서도 Linkedin 이나 개인 홈페이지 등을 통해 이력서를 공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교수들처럼 상세한 이력서를 인터넷에 공개하는 직업은 본 적이 없다.

이런 추세는 몇 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학 측에서 홈페이지를 구축하면서 학교 홍보 목적으로 교수들의 출신대학과 연구성과를 공개하면서 시작되었다. 학부생들은 교수의 강의 경력이나 강의 관련 수상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대학원생들은 교수의 연구 분야와 최근 논문을 확인하여 입학 지원이나 지도교수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교수 입장에서는 자신의 연구 성과를 광고하여 더 나은 대학으로 옮길 때 도움이 된다. 한국 대학 쪽은 최근에야 교수들의 대학간 이직이 활성화 되기 시작했지만, 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교수들이 다른 대학으로 옮기는 것이 아주 흔한 일이다. 실력 있는 교수는 더 높은 연봉이나 더 나은 연구 환경을 찾아서 옮기고, 연구성과가 미흡한 교수는 Tenure를 받지 못해 다른 학교로 옮긴다. 이직이 잦은 환경 탓인지 교수들은 스스로를 홍보하는데 적극적이다.

다른 직장에서 교수들처럼 상세한 이력서를 회사 홈페이지든 개인 홈페이지든 공개해 놓는다면 당장 사표쓰라는 얘기를 들을지도 모르겠다.

2012년 2월 3일 금요일

Investor Protection and Price Informativeness about Future Earnings: International Evidence

My paper accepted by Review of Accounting Studies is now available online at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r364tn1553tt0857/. If you do not have access right to the journal, you can download the accepted author's version at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1838962.

"Investor Protection and Price Informativeness about Future Earnings: International Evidence.”
(with In-mu Haw, Bingbing Hu, and Woody Wu)
Review of Accounting Studies 17 (2), 2012, forthcoming.

Abstract:
This study draws on the investor protection literature to identify structural factors in a country’s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are likely to explain cross-country differences in the extent to which future earnings information is capitalized in current stock returns. Using a sample of 55,900 firm-years from 32 countries, we find that greater financial disclosure, higher quality earnings, and greater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news media are associated with stock prices that are more informative about future earnings, whereas strong enforcement of insider trading laws is associated with stock prices that are less informative about future earnings. We also find that, on average, price informativeness about future earnings is greater in countries with strong investor protection. Our results illuminate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factors constituting a country’s information environment in explaining cross-country variation in price informativeness about future earnings.

2012년 2월 1일 수요일

미국 주립대 교수 및 직원 연봉 내역을 본 소감


http://www.collegiatetimes.com/databases/salaries 에는 미국 주립대 교직원의 연봉이 데이터베이스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정보공개법 때문에 가능한 자료인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면서 발견한 몇 가지 사실입니다.

1. 학교별 전공별 연봉차이가 꽤 큽니다. 같은 경영학 내에서도 세부전공별로 다르고, 다른 전공끼리는 차이가 상당히 많이 납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 조교수의 연봉은 같은 학교의 회계학 조교수 연봉에 비해 2/3 수준입니다. 부교수나 정교수의 연봉은 개인의 연구성과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로 조교수 중심으로 비교했습니다.

2. 미식축구 감독 (head coach)의 연봉이 엄청납니다. 학교내 모든 교직원(총장포함) 중에 연봉 랭킹 1, 2위를 다투는 학교가 여럿 됩니다. 미국 대학들이 미식축구에 얼마나 미쳐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입니다.

3. 개인적으로 아는 교수님들도 몇 사람 연봉을 확인했는데 투명한 행정도 좋지만 고위공무원도 아닌 일반 교직원들까지 이렇게 연봉을 공개하는 것은 당사자들에게는 상당히 당혹스럽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톱저널의 논문 한편이 회계학 교수 연봉에 미치는 영향


Market for Accounting Faculty by Sharad Asthana, Steven Balsam :: SSRN

회계학 교수 연봉에 관한 논문인데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회계학 교수가 top3 저널에 논문 한 편을 실으면 평균적으로 정교수 연봉은 2,500달러, 조교수 연봉은 9,000달러가 오른다. 그래서, 조교수가 top 저널 논문 한 편을 실으면 평생의 연봉상승분을 현재가치로 계산해서 총 10만달러의 가치가 있다.